스토리지 클래스 메모리(Storage Class Memory, SCM)
가.정의
- 플래시 메모리처럼 비휘발성 속성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전형적인 램인 DRAM이나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처럼 고속의 바이트 단위 랜점 접근을 지원하는 메모리 기술이다.
- PCM(PRAM), FeRAM, MRAM이 대표적인 기술이다.
나.SCM의 장점 (플래시 메모리 대비)
- SDRAM과 같이 바이트 단위의 읽기와 쓰기 제공 (프로그램의 직접 수행 가능)
- 접근 속도측면에서 노어플래시 메ㅁ리와 다른 특성을 보임(향후 잠재적으로 SDRAM에 버금가는 성능과 낸드 플래스 메모리를 능가하는 집적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
- 쓰기 성능을 저해하는 소거연산이 발생하지 않음
- SDRAM 수준의 내구성을 확보, 내구성 강화됨
다.SCM 고입에 따른 S/W의 발전방향
- 빠른 저장매체로서 활용 : 시스템의 수행 성능과 안정성 향상에 기여, 시스템 입출력 성능이 개선됨.
- 비휘발성 메인 메모리로의 활용 : 기존 휘발성 메모리의 한계 극복, 영속적인 프로세스를 관리할 수 있는 운영체제의 개발이 필요함.
- 저장매체와 메인 메모리를 통합하는 용도로의 활용 : 기존의 파일과 프로세스간의 주소공간 개념의 붕괴
*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 전력이 공급되는 한, 메모리 내의 데이터 비트들의 내용이 계속 유지되는 램을 말한다. 캐패서티와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는 셀 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DRMA과는 달리, SRAM은 주기적으로 재생시킬 필요가 없다. SRAM은 DRAM에 비해 더 빠르게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값도 상대적으로 비싸다. SRAM은 컴퓨터의 캐시메모리와 비디오카드의 RAMDAC의 일부로 사용된다. - terms.co.kr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컴퓨터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토리지 가상화 (0) | 2011.02.07 |
---|---|
패브릭 기반 컴퓨팅 (Fabric-based computing) (0) | 2011.02.07 |
FMC (0) | 2010.10.29 |
FMS (0) | 2010.10.29 |
LTE(Long Term Evolution) (0) | 2010.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