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Project Risk Management)
프로젝트에 대한 리스크의 관리 기획, 식별, 분석, 대응 기획, 감시 및 통제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들을 포함
11.1 리스크 관리 계획수립 (Plan Risk Management)
11.2 리스크 식별 (Identify Risk)
11.3 정성적 리스크 분석 수행 (Perform Qualitative Risk Anaylsis)
11.4 정량적 리스크 분석 수행 (Perform Quantitative Risk Anaylsis)
11.5 리스크 대응 계획수립 (Plan Risk Responses)
11.6 리스크 감시 및 통제 (Monitor and Control Risks)
위험(Risk) : Uncertain Event or Unknown Condition(불확실한 사건 또는 상황), 위험은 부정적(Negative) 특징 뿐만 아니라 긍정적(Positive) 특징도 가질 수 있음.
위험(Risk) 속성
- 발생가능성(Probability) : 위험요소가 실제로 발생할 가능성
- 영향력(Impact) : 위험요소가 발생시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
위험관리(Risk Management) 기본 원칙
- 예방이 대응보다 훨씬 중요
- 프로젝트에서 모든 위험에 대응하는 것은 아님
- 위험은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지속적 모니터링이 중요
위험관리 특징
- 문제(Problem)에 대한 영향력은 프로젝트 초반보다 후반에 크다 (프로젝트 위험은 후반보다 초반에 큼)
Risk Management 정의 : 프로젝트 위험관리는 프로젝트에 대한 위험의 관리 계획, 식별, 분석, 대응 계획, 감시 및 통제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포함
11.1 리스크 관리 계획수립 (Plan Risk Management)
프로젝트에 대한 리스크 관리 활동의 수행 방법을 정의하는 프로세스
프로젝트에 전반적인 위험관리 활동을 가이드
위험관리 방법을 정의하며, 프로젝트 구상단계에 시작하여 프로젝트 계획과정 초기에 완료되어야 함
그림. 리스크 관리 계획수립 데이터 흐름도
-
리스크 관리 계획서
-
방법론
-
역할 및 책임사항
-
예산 책정
-
시기
-
리스크 범주
-
-
그림. 리스크 분류 체계(RBS)의 예
-
-
-
리스크 확률 및 영향 정의
-
확률-영향 매트릭스
-
수정된 이해관계자 허용한도
-
보고 형식
-
추적
-
11.2 리스크 식별 (Identify Risk)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리스크를 결정하고, 리스크별 특성을 문서화하는 프로세스
그림. 리스크 식별 데이터 흐름도
-
정보 수집 기법
-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
델파이 기법
-
인터뷰
-
근본 원인 분석
-
-
도식화 기법
-
인과관계도
-
시스템 또는 프로세스 흐름도
-
영향 관계도
-
-
SWOT 분석
11.3 정성적 리스크 분석 수행 (Perform Qualitative Risk Anaylsis)
리스크의 발생 확률과 영향을 평가하여 통합함으로써, 추가적인 분석이나 조치에 유용하도록 리스크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프로세스
그림. 정성적 리스크 분석 수행 데이터 흐름도
-
확률 영향력 매트릭스
-
위험 노출도(risk exposure) = f(발생가능성, 영향력)
-
간단 : 위험 노출도 = 발생 가능성 * 영향력
-
-
위험 긴급성 평가
11.4 정량적 리스크 분석 수행 (Perform Quantitative Risk Anaylsis)
식별된 리스크가 전체 프로젝트 목표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로 분석하는 프로세스
위험의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을 재무적, 확률적으로 분석 -> 의사결정 참조
재무적 -> 원가관리 측면, 확률적 -> 일정관리 측면
-
데이터 수집 및 표현 기법
-
인터뷰
-
확률분포
-
-
정량적 리스크 분석 및 모델링 기법
-
민감도 분석
-
금전적 기대값 분석 (EMV, Expected Monetary Value), 기대화폐가치
-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
의사결정 나무(Decision Tree) : 기대화폐가치(EMV)는 의사결정 나무 형태로 표현함
-
몬테카를로(Monte Carlo) 시뮬레이션 : 프로제긑 원가 or 일정 위험 분석을 위하여 해당변수의 확률분포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기법
-
11.5 리스크 대응 계획수립 (Plan Risk Responses)
프로젝트 목표에 대한 기회는 증대시키고 위협은 줄이기 위한 대안과 조치를 개발하는 프로세스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젝트 위험(Risk)에 대하여 대응계획을 수립
그림. 리스크 대응 계획수립 데이터 흐름도
-
부정적 리스크 또는 위협에 대응 전략
-
회피 (Avoid)
-
전가 (Transfer)
-
완화 (Mitigate)
-
수용 (Accept)
-
-
긍정적 리스크 또는 기회에 대한 전략
-
활용 (Exploit)
-
공유 (Share)
-
증대 (Enhance)
-
수용 (Accept)
-
11.6 리스크 감시 및 통제 (Monitor and Control Risks)
프로젝트 전반에서 리스크 대응 계획을 구현하고, 식별된 리스크를 추적하고, 잔존 리스크를 감시하고, 새로운 리스크를 식별하고, 리스크 프로세스의 효과를 평가하는 프로세스
-
프로젝트 가정사항의 유효성이 지속되는지 여부
-
평가된 리스트의 변경 여부 또는 철회 가능성 여부
-
리스크 관리 정책 및 절차가 준수되고 있는지 여부
-
현재 리스크 평가 결과에 따라 원가 또는 일정에 대한 우발사태 예비를 수정해야 하는지 여부
프로젝트 진행에 따른 위험의 발생가능성(Probability)과 영향력(Impact)을 반복적으로 평가하고 시정조치와 예방조치를 권고
그림. 리스크 감시 및 통제 데이터 흐름도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