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을 지원하는 개발 플랫폼과 기술이 시장의 요구이다.
HTML5는 지원업체 수가 늘면서 중요한 기술로 나서고, HTML표준 스펙과 관련 도구의 성숙도가 시장의 적응 속도를 결정하게 된다. 그렇지만 표준이 포괄할 수 없거나, 이미 만들어진 컨텐츠의 중요성, 새로운 시장 요구를 받아들이는 역할로 RIA 기술은 여전히 유효한 상황이다.
- http://msdnpopcon.com/224
다양한 플랫폼에서 같은 사용자 경험을 하고 싶은 요구가 증가한다. 간단히 아이폰에서 한 게임을 안드로이드폰에서 같이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스마트 TV에서도 가능하기 위한 기술로 HTML5라는 웹 표준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시장에서는 특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Apple에서는 Flash를 지원하지 않겠다고 하여 Adobe의 Flash 기술을 채택을 하고 있지 않다. 이는 단순히 iPhone, iPad에서 뿐만 아니라 Apple TV에 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 상당히 중요한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RIA 기술들이 어떻게 앞으로 발전하는 웹표준에서 대응하고 지원이 될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이런 와중에 구글의 크롬 브라우저에서는 비디오 표준 코덱인 H.264를 지원하지 않겠다고 하고 있다. 이렇듯 각종 밴더들이 조금씩 표준을 다르게 채택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순히 HTML5만으로는 아직은 모든 컨텐츠를 표현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에서 이러한 시장의 움직임은 좀 더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이다.
하지만 다양한 플랫폼에서의 사용자가 동일한 환경/경험에 대한 요구는 점점 더 커지고 있기 때문에 기다리기만 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그래서 현재의 표준인 HTML5의 체택은 확실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IT Tr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WAC (Wholesale Applications Community) (0) | 2011.02.23 |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0) | 2011.02.23 |
IT as a service (0) | 2011.02.14 |
스마트TV (0) | 2011.02.09 |
HTML5 (0) | 2011.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