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Trend

2013 Gartner IT Trend Gartner의 2013년 IT Trend 1. Mobile Device Battle 2013년에는 모바일이 전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웹엑세스 기기로써 PC를 추월하게 될 것. 분석> 본격적으로 MS가 Window 8 기기를 보급할 것이고 스마트폰의 다양한 OS의 탄생(Firefox OS) 되었다. 그리고 기존 OS의 재 탄생(RIM)과 이를 적용한 모바일 기기들의 본격적인 경쟁이 시작될 것이다. 아직까지는 지금은 PC에서 Web의 접속률이 높으나 조만간 모바일에서의 웹 접속이 추월 할 것이라고 Gartner는 예상하고 있다. 2. Mobile Applications and HTML5 Native App이 Web App으로 전환될 것이다. 개발자는 다양한 기기 전반에 작동하는 터치에 최적화된 모바일.. 더보기
accenture 2012 6대 기술 1. 상황정보 기반(context-based) 서비스 2. 데이터 아키텍처 융합 3. 데이터서비스의 산업화 4. 소셜미디어의 IT 주도현상 5. 서비스형 플랫폼(PaaS)으로 구현되는 민첩함 6. 종합적 보안 분 1. 상황정보 기반 서비스 기술누가, 무엇을, 어디에, 언제 등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PC등 각종 기기로 수집해 서비스에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수집에 전자태그(RFID), 블루투스 기술등을 접목하며 블로그, 게시판, 쇼셜미디어 서비스 등도 대상이 될 수 있다. 2. 데이터 아키텍처 융합최근 화두인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 간 구조적 융합을 뜻한다.예컨대 스마트 그리드가 가능하려면 기존 정보뿐 아니라 각종 센서가 수집하는 여러 비정형 정보를 같이 끌어와 통합적으로.. 더보기
Data Science 데이터 과학자(Data Science)는 기업 내부 다양한 영업 보고서부터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의 고객정보까지 방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 비즈니스 전략 수립을 돕는 직업을 말한다. Big Data를 다루는 구글 등 대형 인터넷 기업뿐만 아니라 유통과 미디어,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과학자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들이 데이터 과학자를 통해 기대하는 것은 단순한 데이터 추출,변환,통합이 아닌 새로운 가치 창출이다. 사례 오바마선거캠프 : '빅테이터팀'을 꾸려 데이터 과학자 모집 넷플릭스 : '넷플릭스 프라이즈'를 통해 데이터 과학자 선발 월마트 : 데이터 과학자 주축이 된 '월마트랩'운영 스탠포드대학 : 데이터 과학자 양성과정 인기 급증 향후 10년간 세계 데이터가 현재 50배로 증가 .. 더보기
Big Data Big data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에 관리하는 데이터량을 넘어서는 데이터 세트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단순히 데이터 크기큰것보다 큰데이터를 이용하여 의미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기술을 통틀어 이야기한다. - 위키피디아 빅데이터란 통상적인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가 다룰수 있는 능력을 넘어선 규모의 데이터를 의미함. -McKinsey Golobal Institute 분석대상인 소셜 미디어나 위치 정보 데이터 등의 양은 크다. (Volume), 데이터의 형태가 비구조화 되어 있다.(Variety)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생산된다 (Velocity) - IBM, http://www-01.ibm.com/software/data/bigdata/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더보기
Gartner's 2011 Hype Cycle 출처:http://www.gartner.com/it/page.jsp?id=1763814 http://www.gartner.com/hc/images/215650_0001.gif. Source: Gartner (July 2011) The connected world Interface trends Analytical advances New digital frontier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더보기
Semantic Web (출처:wikipedia.org) 가. 개요 시멘틱 웹(Semantic Web)은 현재의 인터넷과 같은 분산환경에서 리소스(웹 문서, 각종화일, 서비스 등)에 대한 정보와 자원 사이의 관계-의미 정보(Semanteme)를 기계(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온톨로지 형태로 표현하고, 이를 자동화된 기계(컴퓨터)가 처리하도록 하는 프레임워크이자 기술이다. 웹의 창시자인 팀버너스 리가 1998년 제안했고 현재 W3C에 의해 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이다. 나. 시멘틱웹과 웹의 차이 일반 텍스트를 예를 들면 일반웹에서는 단순히 단어를 표현(강조 등)하기 위해 tag를 붙여 사용을 하였다. 예를 들면, 바나나, 노란색을 강조를 위해 바나나, 노란색 이런식으로 표현을 하였다. 시맨틱 웹은 이런 정보를 기계가 바나나라는 개.. 더보기
IBM Project Vulcan Building on a company's existing investments, IBM Project Vulcan enables breakthrough approaches to reduce personal information overload and improve business agility, empowering people to drive better business results. IBM Project Vulcan is designed to exploit the convergence of: Cloud and on-premise systems Collaborative Services business applications and social networks Desktops, netbooks and .. 더보기
UX (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 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 가. 정의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직,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총체적 경험을 말한다. 단순히 기능이나 절차상의 만족뿐 아니라 전반적인 지각 가능한 모든 면에서 사용자가 참여, 사용, 관찰하고 상호 교감을 통해서 알 수 잇는 가치있는 경험이다.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의 창출은 산업 지다인, 소프트웨어 공학, 마케팅, 및 경영학의 중요과제이며 이는 사용자의 니즈의 만족, 브랜드의 충성도 향상, 시장에서의 성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주요 사항이다. 부정적인 사용자 경험은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을 이루지 못할 때나 목적을 이루더라도 감정적, 이성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편리하지 못하거나 부정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경험을 하게 되는 경우 발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