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활동 정의 (Define Activities)
6.2 활동 순서배열 (Sequence Activities)
6.3 활동 자원 산정 (Estimate Activity Resources)
6.4 활동 기간 산정 (Estimate Activity Durations)
6.5 일정 개발 (Develop Schedule)
6.6 일정 통제 (Control Schedule)
6.1 활동 정의 (Define Activities)
프로젝트 인도물을 생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구체적인 활동들을 식별하는 프로세스
그림. 활동 정의 데이터 흐름도
-
Work package : PMBOK 은 산출물(devliverable)이라고 정의
-
5.3 WBS 작성은 what to do
-
6.1 활동 정의는 how to do
-
-
Schedule activity : work package를 분할한 것이 Schedule activity
-
Planning package : 정보가 부족해서 충분히 분할되지 않아 나중에 추가로 상세화가 할 것
6.2 활동 순서배열 (Sequence Activities)
프로젝트 활동 사이의 관계를 식별하여 문서화하는 프로세스
그림. 활동 순서배열 데이터 흐름도
-
선후행도형법(Precedence Diagramming Method, PDM)
-
주공정법(Critical Path Methodology, CPM)의 하나
-
엑티비티를 노드 위에 표현함.
-
AON (Activity On Node)라고도 함.
-
종료-개시관계 (FS)
-
종료-종료관계 (FF)
-
개시-개시관계 (SS)
-
개시-종료관계 (SF)
-
-
-
Arrow Diagramming Method, ADM
-
엑티비티를 화살표 위에 표현
-
AOA (Activity On Arrow)
-
-
선도 (Lead) : 선행 엑티비티를 종료하기 전에 후행 엑티비티를 시작할 수 있는 개념
-
지연 (Lag) : 선행 엑티비티가 종료되고 일정 기간이 지나서 후행 엑티비티를 착수할 수 잇는 개념
6.3 활동 자원 산정 (Estimate Activity Resources)
각 활동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재, 사람, 장비 또는 공급품의 종류와 수량을 산정하는 프로세스
그림> 활동 자원 산정 데이터 흐름도
6.4 활동 기간 산정 (Estimate Activity Durations)
산정된 자원으로 개별 활동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총 작업 기간수를 개략적으로 산정하는 프로세스
그림> 활동 기간 산정 데이터 흐름도
-
Three-point estimates : 불확실할때 사용
-
액티비티 기간 산정 방법
-
PERT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2점 추정) - 위험을 고려한 일정추정 기법
-
최빈치 (Most likey, tm)
-
낙관치 (Optimistic, to)
-
비관치 (Pessimistic, tp)
-
기대치(E, te) 평균 = ( to + 4tm + tp ) / 6
-
표준편차 = (tp - to) / 6
-
-
CPM (Critical Path Method, 1점 추정)
-
-
Analog estimating = Top down estimating = Expert judgment
-
-
GERT ( Graphical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 조건이나 확률 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분석 기법
6.5 일정 개발 (Develop Schedule)
활동 순서, 기간, 자원 요구사항 및 일정 제약사항을 분석하여 프로젝트 일정을 수립하는 프로세스
그림. 일정 개발 데이터 흐름도
-
CPM (Critical Path Method) : 주공정법
-
액티비티의 착수예정일과 종료예정일을 계산하는 기법 (자원 제약 고려 안함)
-
전진계산(Forward Pass), 후진 계산(Backward Pass)
-
빠른 개시일(ES)/종료일(EF), 늦은 개시일(LS)/종료일(LF)
-
총 여유 는 빠른 개시일(ES)/종료일(EF)과 늦은 개시일(LS)/종료일(LF) 사이의 차이
-
Total float = LS - ES 또는 LF-EF : 프로젝트 납기일을 지연시키지 않고 액티비티가 가질수 있는 여유시간
-
Free float = ESsuccessor(후행 액티비티의 빠른 시갖일) - EF - 1 : 후행 액티비티의 빠른 시작일을 지연시키지 않고 선행 액티비티가 가질수 있는 여유시간
-
Total Slack : 프로젝트 종료일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액티비티가 가지는 여유시간 (total slack = total float)
-
Free Slack : 후행 액티비티의 빠른 시작일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액티비티가 가질수 있는 여유 시간
- Flloat > 0 : 여유가 있음. float = 0 : 여유가 없음, float < 0 : (-)여유가 있음
-
- Total Float < 0 : 프로젝트가 고객이 제시한 납기일을 맞추지 못하고 있는 상황, 일정단축 기법 사용
-
Critical Path : float이 0인 액티비티들의 연결
- 최소한의 유연성을 가진 연결, 집중적으로 관리해야하는 액티비티의 연결
-
-
Critical chain
- 필요한 자원이 가용하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액티비티 사이의 연관관계 (Dependency)와 수행기간(duration)만으로 결정
- 자원을 고려한 일정, 병목구간을 찾아 조정 (Resource Diagram)
-
이슈
- 파킨슨의 법칙(Parkinson;s law) : 빨리 끝낼수 있어도 주어진 기간을 다 사용
- 자기 방어(Self-protection)
- 다음 주자의 준비 부족 (Dropped baton)
- 자원 병목 (Resource bottlenecks)
- 학생증후군 (Student syndrome)
- 프로젝트 버퍼(Project buffer) : Critical Chain상의 액티비티로 부터 확보한 버퍼를 Critical chain 끝에 두어 관리
-
피딩 버퍼(Feeding buffer) : Critical Chain에 연결되는 Non-Critical Chain의 끝에 피딩 버퍼를 둔다, Critical Chain 상의 작업 착수가 지연되는 것을 막아준다
- NCC인데 CC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줄이기 위한 Activity 상의 버퍼
-
자원 버퍼(Resource buffer) : Non-critical 액티비티가 Critical chaing의 업무를 수행하는 희소자원(critical resource)을 필요로 할 때 설정
- 자원의 다음 Activity를 위한 여유버퍼(시간)
-
Resouce Leveling
- 특정기간동안 희소자원(scarce resource) 혹은 공유자원(shared resource)의 가용성에 한계가 있거나 전체 인원 수가 제약되어 있는 상황을 해결하는 기법
- Overload된 자원 해결
-
Schedule Compression
- 수확체감의 법칙 : 인원이 증가하면 관리 인원도 증가, 인원이 증가하면 의사소통비용 증가
-
Crashing : 추가인원을 투입하여 프로젝트 전체 공정기간을 단축
- CP를 줄이는 것 : CP에 인원투입, 고급인력 대체
- Fast Tracking : 병행 작업(FS연관관계를 재정의, 선행공정이 끝나기 전에 후행공정을 시작) -> 기간은 단축할 수 있지만 재작업으로 인해 기간이 늘어날 위험 내포
- Rolling wave planning : 나중에 수행할 계획은 상위 수준에서 개괄적으로 정의하고, 곧 수행할 범위는 상세 수준까지 계획, 나중에 정보가 충분해지면 계획을 상세화
-
6.6 일정 통제 (Control Schedule)
프로젝트의 상태를 감시하여 프로젝트의 진행을 갱신하고 일정 기준선에 대한 변경을 관리하는 프로세스
그림. 일정 통제 데이터 흐름도
-
Performance reviews
-
실제 개시일과 종료일, 완료율, 진행 중인 작업의 잔여기간 등과 같은 일정 성과를 측정하고 비교 및 분석
-
획득가치관리(EVM), 일정차이(SV), 일정성과지수(SPI)
-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PMI'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프로젝트 품질관리 (Project Quality Management) (0) | 2010.03.19 |
---|---|
7. 프로젝트 원가 관리 (Project Cost Management) (0) | 2010.03.17 |
5. 프로젝트 범위 관리 (Project Scope Management) (0) | 2010.01.27 |
4. 프로젝트 통합 관리 (Project Integrattion Management) (0) | 2010.01.20 |
3.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Project management process for a project) (0) | 2010.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