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인식 컴퓨팅(Context-Aware Computing)은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을 연결해 가상공간에서 현실의 상황을 정보화하고 이를 활용해 사용자 중심의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현실세계의 모든 상황을 표현하는 기술적 수단을 제시하며, 이를 기반으로 상황 인식, 상황의 특징 추출, 학습, 추론 등의 지능화된 기법을 적용해 인간 중심의 자율적인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상황인식 지원
사용자에게 정보와 서비스 제공(Presentation)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의 자동 실행(Execution)
이후 검색을 위한 상황 정보의 표시(Tagging)
상황인식 응용 개발
상황의 획득과 접근
상황인식 응용에 독립적인 상황인식 정보의 저장, 배포 및 실행
상황 정보의 추상화를 위한 기술 (Abstraction)
상황 정보를 해석하는 기술 (Interpretation)
유사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Aggregation)
입력정보 --> 상황 인식 시스템 --> 출력정보
일반 상황 정보 유형
-사용자 상황
-물리적 환경 상황
-컴퓨팅 시스템 상황
-사용자 컴퓨터 사왕 작용 이력
-기타 미분류 상황
상황인지 컴퓨팅은 1990년대 말부터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주된 연구와 활용분야는 위성측위시스템(GPS)과 모바일 시스템을 통해 시공간 속에 사람들의 위치를 추적하거나 찾아내 위치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다. 또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와 그를 둘러싼 주변의 환경을 고려해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것을 상황인지 S/W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은 언제나 전후 상황, 즉 콘텍스트에 따라 의사결정을 한다. 일상생활에서 동일한 현상이나 사건들이 다양한 결과나 반응을 낳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동일한 사람이라도 위치나 시간, 경험, 선호도 등과 같은 콘텍스트에 따라 다른 판단과 선택을 할 수 있다. S/W관점에서 콘텍스트 정보는 궁극적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이 수행할 수 있는 최고의 효율성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종류의 정보이다. SW를 이용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는 사용자에게 높은 만족과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정보가 되는 콘텐스트에 큰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
아마존은 사용자가 도서를 구입할 때 구매 이력을 저장,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검색 시에 추천 도서를 보여줘 매출을 높인다.
구글은 각 개객인 구글 사이트를 사용하면서 생성되는 형태를 활용해 서비스 한다. 예를 들어 각 키워드에 대한 링크의 순위, 개인의 검색이력 등의 웹 내비게이션의 로그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분석해 각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해 차별화된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상황인식 컴퓨팅은 유비쿼터스 컨퓨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 기술로 가장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다. 상황인식 컴퓨팅 기술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 시간, 주변에 있는 다른 사람이나 정보가전 기기, 사용자의 행동 및 작업이력 등과 같은 사용자의 현재 상황정보를 파악하고 분석해 사용자가 현 상황에서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검색해 구동시켜줍니다.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IT Tr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TV (0) | 2011.02.09 |
---|---|
HTML5 (0) | 2011.02.07 |
VDI (0) | 2011.01.31 |
2011 IT Trend (MS) (0) | 2011.01.14 |
2011 IT Trend (0) | 2011.01.03 |